티스토리 뷰

전체 서비스가 아닌, 컨플루언스 플러그인 기능을 중심으로 테스트 후기를 정리해보았습니다. 

 

구분

draw.io

https://www.draw.io/

Gliffy

https://www.gliffy.com/

서비스 개요
  • 한줄 요약 : online diagram software
  • Web based Service Platforms
  • Chrome 확장 툴 & 앱 제공
  • 한줄 요약 : Cloud-based diagramming software
  • Web based / Mac OSX / Windows Service Platforms
  • Chrome 확장 툴 & 앱 제공
  • 웹용 비지오라고 소개될 정도로 파워풀한 서비스이지만...
    요즘 신생 diagram 툴 들에게 밀리는 중
확장성/공유
  • 구글드라이브 / GitHub / Dropbox / OneDrive
  • Local PC / 자체 서비스내 저장
  • 구글드라이브 연동
  • 자체 서비스내 저장
오프라인 사용
  • 가능 (크롬 앱 사용)
  • 가능 (크롬 앱 사용)
테스트 항목
  • mind-mapping / flowchart / diagram / table / Storyboard
개인적 만족도
  • 온라인 작업에 최적화된 서비스
  • 별 한개가 빠진 이유
    : 에디터 프리징(무거움), 여러 페이지 작업 안됨.
장점
  • multi-page (tabs) 기능 제공
  • Simple & 가벼운 에디터 (better than gliffy)
  • 한글 UI 제공
  • 오프라인 사용 가능
  • 파워풀한 기능, diagram type 제공
단점
  • PDF 변환시 종종 한글 깨짐 현상 발생
  • 에디터가 '매우' 무거움.
  • 탭을 많이 띄우고 사용하는 크롬 유저에게는
    에디터를 띄우는 중에 페이지 멈춤 현상 잦음. (저요!)
  • 플러깅보다는 독립 서비스로 이용하는 것을 추천
    https://www.gliffy.com/
  • sigle page 작업만 지원
서비스 소개 URL    
screenshots
  • 클라우드 저장 기능



  • 클라우드 저장 기능

 

<후기 결론> 

draw.io 나 Gliffy 두 소프트웨어 모두 컨플루언스에서 다이어그램 툴로서의 목적에는 적합한 툴입니다. 

다만 개인적으로 draw.io 를 추천하고 싶네요.

추천 사유는 플러깅으로써 가볍고 페이지 프리징 현상이 적습니다. 

제 경우 Gliffy를 쓰다가 페이지 프리징으로 작업량 일정 부분을 날려먹은 적이 종종 있네요. ㅎㅎ

두 가지 플러깅으로 고민할 때마다 draw.io로 결론을 내리곤 했었습니다.

간단한 스토리보드는 draw.io 로 작업하고, 컨플루언스로 공유하면 버전관리가 유용하더라구요.